4월, 2017의 게시물 표시

아두이노 스케치 작성하기

이미지
아두이노 스케치 작성을 위한 ThingSpeak Library  를 설치한다. Download받은 "thingspeak-arduino-master.zip" 파일을 아두이노 IDE에 아래의 과정으로 추가한다. 아두이노 IDE를 실행하고, "스케치" -> "라이브러리 포함하기" -> ".zip 라이브러리 추가..."를 클릭한다. 앞서 download받은 thingspeak library를 선택해서 추가한다. Google 검색을 통해서 "Arduino + ESP8266 + Thingspeak" 사이트를 참조한다. 해당 사이트에서 아래쪽에 보시면, 아두이노 스케치가 있다. 이것을 복사해서 간단히 사용할 계획이다. H/W 보드는 Arduino 와 ESP01 module을 사용할 것이다. 사용하는 H/W에는 DHT와 BMP085가 없기 때문에 복사한 스케치를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 DHT header와 BMP085 header를 제거한다. - DHT관련 Code를 제거한다. - esp8266 module 연결 Pin을 다시 정의한다. - network 문자열에 "WiFi Name"을 입력하고, password 문자열에 "WiFi Password"를 입력한다. - GET 문자열에는 ThingSpeak에서 생성한 channel의 API Key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한다. - loop()함수에서 DHT와 bmp관련 부분은 제거한다. - loop()함수에서 updateTemp()함수의 argument를 모두 lightIntensity로 동일하게 전달한다. 스케치를 Arduino 보드에 올린다. 아두이노 시리얼을 열어서 ESP-01 Module의 동작을 확인한다. "Data Sent" 를 출력하면, ThingSpeak에서 생성한 Channe...

Web 어플 작성하기.

이미지
ThingSpeak 사이트에 접속하고, Log in 한다. 최초 접속이라면, Channel이 없을 것이다. "New Channel" 버튼을 클릭해서 channel을 생성한다. Channel생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간단히 아래와 같이 "Name", "Description", "Field1"만 기술한다. 화면 아래에 "Save Channel" 버튼을 클릭한다. 생성된 Channel 화면에서 "API Keys" 탭을 클릭한다. 자동 생성되어 있는 "API Key"를 복사해 둔다. 향후 아두이노 스케치를 작성할 때 사용된다. API Key는 Read와 Write가 따로 사용된다.

ThingSpeak 가입하기

이미지
ThingSpeak  사이트에 접속한다. 화면 우측 상단에 있는 "Sign Up" 버튼을 클릭한다. "Sign up for ThingSpeak" 화면에서 e-mail을 입력하고, "User ID"는 자신의 고유 ID이므로 잘 정해야 한다. Password는 대문자, 특수 문자, 숫자, 알파벳 각각 1개 이상 존재해야 한다. 한글로 First Name과 Last Name을 입력하고, 영어로 First Name과 Last Name을 입력한다. 모두 입력하였다면, "Continue" 버튼을 클릭한다. 생성한 계정에 대한 Verify를 위해서 앞서 생성한 e-mail을 확인해본다. "Verify your email" 버튼을 클릭해서 e-mail verify를 진행한다. 이것으로 가입이 완료되었다.